주소지 이전

주소지만 바꿨는데 긴급재난문자가 안 오는 이유는 뭘까?

veridata 2025. 7. 9. 13:58

재난 상황에서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경고 수단은 바로 긴급재난문자다.
기상 특보, 지진, 화재, 실종자 수색, 산불, 미세먼지 등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스마트폰으로 ‘삐~익’ 소리와 함께 재난문자가 도착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생겼다. 나는 실거주지를 그대로 유지한 채, 건강보험 문제로 주소지만 부모님 댁으로 전입신고를 했다.
그 후부터 갑자기 기존에 잘 오던 재난문자가 더 이상 오지 않는 상황이 반복됐다.
한때는 바로 옆 건물에서 화재가 났는데도 아무 문자도 받지 못했고, 지진 경보가 내려졌다는 뉴스를 보고서야 상황을 알게 됐다.
이 글에서는 주소지만 바꿨을 뿐인데 왜 긴급재난문자가 오지 않게 된 것인지, 그 원인과 시스템 구조,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풀어보겠다.

 

 

긴급재난문자가 안오는 이유

 

 

 

긴급재난문자, 단순한 ‘지역문자’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긴급재난문자가 단순히 주소지 기준으로 발송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재난문자는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발송된다.

  1. 기지국 기반 셀 브로드캐스트(Cell Broadcast) 방식
  2. LBS 기반 통신사 위치 기반 발송
  3. 지역 주민등록상 주소 연계 알림 (드문 케이스)

이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번 방식으로,
스마트폰이 위치한 기지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에게 동시 송출되는 구조다.
즉, 주소가 어딘지는 중요하지 않고, 사용자가 어느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지’가 핵심이다.
그런데 왜 주소지만 바꿨는데 문자가 안 오게 된 걸까?

그 이유는 일부 앱, 통신사, 재난알림 서비스가
주소지 기반 알림 연동 시스템과 병행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재난 문자 앱’이나, 지역별 특화 재난알림 앱(예: 서울안전앱, 경기스마트알림)은
주소지 기반으로 푸시 알림을 보내는데,
주소가 바뀌면 이 앱들이 내 위치와 무관한 지역 알림만 보내거나, 아예 차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주소 이전 후 특정 지역 알림 시스템에서 제외되는 이유

많은 지자체는 자체적인 재난 대응 알림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의 ‘안전드림’, 경기도의 ‘재난알림톡’, 부산의 ‘부산안전넷’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해당 지자체 주소 등록자에게 우선적으로 푸시 알림 또는 문자를 발송한다.

예를 들어,

  • 서울시민으로 등록되어 있을 때는
    미세먼지 경보, 폭염주의보, 한파 특보 등에 대한 안내가 서울 기준으로 수신된다.
  • 그러나 주소를 경기로 바꾸면
    서울시 재난시스템에서 대상자에서 자동 제외된다.
  • 반면 경기도 재난알림 시스템에선
    내가 실제 살고 있지 않음에도 경기도 정보만 보내주는 일이 생긴다.

결국, 주소는 시스템상 수신 권한을 결정하는 기준값이 되며,
실제 거주지역이 어디든지 간에
주소지를 기준으로 필터링 또는 제외되는 구조가 작동한다.
즉, 주소만 바꿨는데도 알림에서 빠져버리는 현상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사 부가서비스와 앱 설정도 원인일 수 있다

통신 3사(SK, KT, LGU+)는 기본적으로 기지국 기반 긴급문자를 제공하지만,
별도로 제공하는 재난 문자 서비스 앱이나
고객이 가입한 부가 서비스(예: 가족 알림, 주소지 기반 날씨알림 등)는
주소 정보를 별도로 등록해두고 이를 기준으로 동작한다.

예시:

  • KT의 ‘지니알림’은 주소지 기반으로 기상 정보와 위험 알림을 푸시함
  • SKT의 ‘T알리미’는 가족 구성원 주소지를 기준으로 특보를 구분 발송
  • LGU+의 ‘스마트알림’은 주소지 설정에 따라 재난정보 노출을 제한함

따라서,
통신사 앱 설정이나 부가서비스가 주소 기반일 경우,
주소 이전 후 ‘알림 대상자’에서 빠지거나
정보가 엉뚱한 지역으로 세팅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특히 부모님 주소로 전입신고 후 실거주가 다른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해결 방법 – 앱과 서비스 주소를 실거주에 맞춰 동기화하자

해결 방법은 어렵지 않다.
핵심은 주소 기반으로 작동하는 앱이나 시스템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주소를 실거주지 기준으로 수동 설정하는 것
이다.

✅ 다음은 꼭 확인해야 할 4가지 항목:

  1. 지자체 재난 앱
    – 내가 거주하는 지자체 앱 설치 (예: 서울안전앱, 경기재난톡)
    – 앱 설정에서 '주소 기반 알림 지역'을 실거주지로 설정
  2. 통신사 부가서비스
    – KT, SKT, LGU+ 앱 로그인
    – 알림 서비스 → 주소지 수신지역 → 실거주지로 변경
  3. 정부24 / 행안부 앱 (안전안내문자)
    – 주소 기반 푸시 알림 여부 확인
    – ‘전국 수신 허용’ 기능이 있다면 켜두기
  4. 기기 설정 점검
    – 안드로이드: 설정 > 알림 > 긴급재난문자 수신 켜짐 확인
    – iOS: 설정 > 알림 > 정부 경보 켜짐 여부 확인

이런 조치를 통해 주소는 다르게 돼 있어도 실거주지 기준으로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해진다.

 

결론 및 요약

주소지만 바꿨을 뿐인데, 긴급재난문자가 안 오는 이유는
단말기 위치가 아닌 **주소 기반으로 작동하는 보조 시스템(앱, 통신사 부가 서비스, 지자체 알림 앱 등)**이
알림 대상에서 사용자를 제외하기 때문이다.
기지국 기반 문자는 여전히 수신 가능하지만,
주소 기반 서비스는 수동 설정을 하지 않으면 실거주지 정보가 반영되지 않아
중요한 알림을 놓칠 수 있다.
주소지를 바꾼 후에는 반드시 관련 앱의 주소 설정도 함께 변경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