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지만 옮긴 뒤 통신비가 갑자기 올라간 이유
주소 이전은 주로 건강보험, 세금, 청약 자격 등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내가 예상치 못한 영역이 있었다.
바로 통신비였다. 나는 몇 년째 특정 통신사의 서울/수도권 지역 청년 요금제를 사용 중이었고,
할인을 받아 월 3만 원대에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었다.
그러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을 위해 주소만 부모님 댁으로 전입신고한 상황. 실거주는 그대로 서울이었다.
그런데 몇 달 뒤, 통신사에서 요금제 변경 알림이 왔고, 내 요금은 자동으로 일반요금제로 전환되어 월 5만 원대로 상승했다.
주소지만 바꿨을 뿐인데 왜 통신요금이 올랐는지, 통신사 요금 정책이 어떻게 주소지와 연계되어 있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려 한다.
요금제 할인 해지 알림과 예상치 못한 요금 폭등
나는 기존에 SKT의 ‘서울청년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요금제는 19~34세의 서울시 주소지를 둔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 할인 요금제였다.
정상 요금은 6만 원 이상이지만, 약정 할인과 청년 지역 할인 혜택으로 월 35,000원 수준에 이용 중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통신사 앱에 **“요금제 할인 자격 상실로 인해 자동 해지 예정”**이라는 알림이 떴다.
자세히 확인해보니, 내 주민등록 주소지가 서울에서 경기로 바뀐 것이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 서울시 전용 청년 요금제 자격이 상실된 상태였다. 즉, 실거주는 서울이지만 주민등록상 주소가 서울이 아니므로,
통신사 내부 인증 시스템에서는 나는 ‘서울 청년이 아닌 일반 사용자’로 분류되어 할인 자격을 박탈당한 것이다.
통신사의 주소 인증 시스템은 AI + 행정 DB 기반
요즘 통신사는 단순히 요금제만 제공하지 않는다.
많은 요금제가 지자체와 제휴된 청년 복지 형태로 운영되며, 이 경우 주소지 확인이 필수 요건으로 들어간다.
내가 사용하던 요금제도 서울시에서 예산을 일부 보조하는 형태였고,
통신사는 분기마다 가입자들의 주소지 정보와 통신사 내 위치 기반 로그를 AI로 대조해 자격을 재검증한다.
주소만 옮겨도 통신사 서버는 즉시 반영하고, 요금제 자격이 자동 해지되거나, 인증 재요청이 발생한다.
문제는, 주소지만 바꾼 나는 실제로는 계속 서울에 살고 있었지만,
행정상 서울시민이 아니므로 자격 박탈 대상자로 자동 분류된 것이다.
AI 시스템은 실거주 여부까지 따지지 않고 주민등록상 주소지 기준으로만 판단한다는 점을 그때 처음 실감했다.
고객센터에 문의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단호했다
내가 앱에서 안내받은 요금 인상 알림을 보고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를 했다.
"실제로는 서울에서 계속 살고 있고, 학교도 직장도 서울인데 요금제 자격이 박탈된 이유가 뭔가요?"라고 물었다.
상담사의 대답은 간단했다.
“해당 요금제는 서울시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둔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소지가 서울이 아니면 자격 미달로 자동 해지됩니다.” 실거주 증빙을 내도 인정되느냐고 물으니, “행정DB 기준이므로 별도 증빙은 적용되지 않는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즉, 주소만 바꿔도 요금제는 무조건 일반 요금으로 변경되고,
할인을 유지하려면 주소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단지 주소지만 바꾼 것뿐인데, 매달 2만 원 이상 요금이 추가로 부과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다시 주소를 되돌리고 요금제 복귀 성공
결국 나는 주민등록 주소지를 다시 서울로 전입신고했다.
실거주지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었고, 동 주민센터에서 바로 처리한 뒤, 통신사에 주소 변경을 통보하고 재등록 요청을 넣었다.
며칠 뒤, 요금제는 원래 청년 전용 요금으로 복귀되었고,
자동 인상되었던 요금도 일부 소급 조정되어 차액이 환급되었다.
이번 일을 겪으며 ‘주소는 통신요금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특히 주소지 기반 요금제, 지역 전용 요금, 지자체 제휴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면
주소를 바꿀 때 반드시 자격 상실 여부를 사전 확인해야 한다.
내 경우처럼 단순한 주소 이전이 매달 2~3만 원씩 누적 손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 및 요약
주소지만 바꿔도 통신요금이 인상될 수 있다.
특히 서울시 청년 요금제, 지역 전용 혜택 요금 등은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으로 자격을 판단하기 때문에
실거주가 같아도 주소가 다르면 자동 해지된다.
주소 이전 시에는 반드시 내가 이용 중인 통신 요금제가 주소와 연결된 상품인지 확인해야 하며,
실수하면 매달 요금 손해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