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지만 바꿨다가 AI 인증에 막혔습니다 – 본인인증 실패 사례 정리
최근 대부분의 금융, 공공서비스는 AI 기반의 비대면 본인 인증 시스템을 활용한다. 모바일 앱에서 계좌를 개설하거나,
정부24에서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때도 AI가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대조해 인증을 처리한다.
이런 시스템을 자주 이용하는데, 몇 달 전 주소지만 바꿨다가 뜻밖의 인증 오류를 연속으로 겪게 되었다.
전입신고를 통해 주소를 바꾼 것뿐이었고, 실거주는 그대로였기에 아무 문제 없을 줄 알았다. 하지만 AI 인증 시스템은 생각보다 예민했고, 단순한 주소 불일치로 인해 계좌 개설, 모바일 심사, 공공서비스 접근까지 반복적인 오류가 발생했다.
실거주 없이 주소만 옮긴 상태에서 겪은 AI 본인인증 오류 사례 4가지를 정리하고, 이를 피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응 방법도 함께 공유하려 한다.
계좌 개설 중단 – 위치 기반 AI 인증 실패
모바일뱅킹 앱을 통해 비대면 계좌를 개설하려 했을 때, 첫 번째 문제가 발생했다.
신분증과 얼굴 인식을 마치고 마지막 단계에서 "주소 기반 인증에 실패했습니다. 고객센터로 문의하세요."라는 문구가 떴다.
이유는 간단했다. 내 주민등록상 주소는 B시, 실제 GPS로 잡히는 위치는 A시였다.
해당 은행은 주소지와 실제 접속 위치가 다를 경우 AI가 ‘타인 명의 도용 가능성’으로 판단해 자동 차단하는 구조였다.
고객센터에 문의했지만 "비대면 개설은 불가하며, 신분 확인을 위해 영업점에 방문해 달라"는 답변만 돌아왔다.
결국 같은 은행을 이용하려면 실거주지와 주소지가 일치한 상태에서만 가능했고, 주소지만 바꾼 내 상태에서는 모든 AI 자동 인증 절차가 무용지물이었다.
정부24 모바일 민원 발급 실패 – 본인정보 불일치
정부24 앱에서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하려 했을 때도 오류가 발생했다.
AI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에서 "주소 정보 불일치로 본인 확인 실패"라는 메시지가 떴고, 추가 인증 단계로 전환됐다.
내가 입력한 주소는 실거주지였지만, 행정정보 시스템에는 전입신고된 주소(B시)가 등록돼 있었다.
이로 인해 AI가 ‘입력값과 등록 정보 불일치’로 판단하여 자동 차단한 것이다.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본인인증 시스템은 대부분 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입력정보, 네트워크 위치정보까지 함께 대조하기 때문에, 단순한 주소만 바뀐 상태라도 인증 단계에서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결국 나는 카카오페이나 휴대폰 본인인증으로 우회했지만, AI 인증 시스템에서 정보의 불일치가 곧 인증 실패로 직결되는 구조임을 확실히 느꼈다.
통신사 서비스 제한 – 지역요금제 및 인증 지연
통신사에서 청년 할인 요금제로 전환하려 했을 때도 문제가 발생했다.
상담원이 "해당 요금제는 서울시 거주자 전용"이라며 주소지를 확인하겠다고 했고, 나는 현재 서울에 살고 있지만, 주소는 전입신고로 인해 경기도로 돼 있는 상태였다.
결국 요금제 적용이 불가하다는 답을 들었다.
또한 통신사 앱에서는 주소지 확인을 위한 AI 인증 절차가 반복적으로 실패되었고,
고객센터를 통해 직접 본인 인증 문서를 팩스로 보내는 불편한 방식으로만 처리가 가능했다.
이처럼 AI 기반 인증은 주소지 기준이 굉장히 명확하게 반영되기 때문에, 실거주와 다른 주소를 등록해두면 대부분의 자동화 인증에서 충돌이 발생한다.
카카오·토스 등 핀테크 인증 시스템의 AI 오작동
핀테크 서비스인 카카오페이, 토스, 뱅크샐러드 등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반복됐다.
특히 새로운 금융 서비스 가입이나 신용평가 연동 과정에서 주소지 인증 실패가 가장 빈번했다.
카카오페이에서는 ‘신용조회 동의’ 절차 중 AI가 주소지를 기준으로 이력 일치를 분석하는데,
내 정보는 경기도 주소로 되어 있으나 실질적 사용 기록은 서울 중심으로 되어 있어 AI가 비정상 이력으로 판단한 것이다.
토스에서는 간편대출 신청 시 ‘주소지 기반 자동 스코어링’이 적용됐고, 주소와 통신 위치가 불일치한 점 때문에 심사 보류 처리되기도 했다.
이처럼 주소지만 바꿔둔 상태에서는, AI 인증이나 신용 시스템이 정상 사용자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례가 상당히 많다.
핀테크 서비스가 발달할수록 주소 불일치 문제는 더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
결론 및 요약
주소만 바꿔둔 상태에서는 AI 본인 인증 시스템에서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은행 계좌 개설, 통신 요금제, 정부 민원 신청, 핀테크 서비스 가입 등 거의 모든 비대면 서비스는 주소·위치·이용 이력의 일치를 기반으로 신원 검증을 한다.
주소만 바꾸고 실거주지와 다르게 유지할 경우, AI가 이상 징후로 인식해 인증을 차단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AI 기반 시대일수록, 주소정보는 더 이상 단순한 행정 데이터가 아니라 신원 인증의 핵심 정보다.